온세상의 자기계발 연구소

자기계발을 쉽게 설명하는 블로그

  • 2025. 4. 20.

    by. 온 세 상

    목차

      소 중립형 도로 인프라 설계(Carbon-Neutral Road Infrastructure Design)는 기후 위기 대응의 핵심 전략 중 하나로, 도로의 조성, 운영, 유지보수, 폐기 등 전 과정에서 탄소 배출을 최소화하거나 상쇄(Net Zero)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지속가능한 토목 설계(Sustainable Civil Engineering), 저탄소 건설 자재(Low-Carbon Construction Materials), 에너지 자립형 인프라(Energy-Self-Sufficient Infrastructure) 등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탄소 중립형 도로 인프라 설계 (Carbon-Neutral Road Infrastructure Design)


      1. 도로 인프라의 탄소 배출 구조와 전환의 필요성

      도로 인프라는 초기 건설 과정에서 다량의 탄소를 배출하며, 그 이후에도 유지보수, 차량 운행에 따른 간접 탄소 배출 등 지속적인 환경 부담을 유발한다. 특히 아스팔트 포장, 콘크리트 구조물, 강철 레일 및 방음벽 설치 등은 전통적으로 고탄소 공정(Carbon-Intensive Process)을 동반한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에 따르면, 국내 도로 1km 건설 시 평균 약 2,000톤 이상의 이산화탄소(CO₂)가 배출되며, 이는 성인 1인 기준 연간 평균 배출량의 수백 배에 해당한다. 이러한 점에서 도로 인프라를 탄소 중립형으로 설계하고 전환하는 것은 단순한 친환경 활동을 넘어서,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조적 과제다.

      탄소 중립형 도로 설계는 크게 ▲탄소 저감형 설계 기법 ▲저탄소 자재 활용 ▲에너지 생산형 인프라로 구성되며, 각 요소는 상호 보완적으로 작동한다.


      2. 저탄소 설계 기법과 생태적 도로 구조

      탄소 중립형 도로 설계의 첫 출발점은 탄소 저감형 설계 기법(Low-Emission Design Technique)의 적용이다. 이에는 노선의 최적화, 절토량 최소화, 장비 가동 효율 증대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곡선 구간의 과도한 토공 작업이나 고가도로 설계는 막대한 탄소 배출을 동반하므로, 지형과의 조화를 우선하는 평면 설계가 선호된다. 실제로 일본의 ‘그린하이웨이(Green Highway)’ 프로젝트는 기존의 산간지형을 관통하는 방식 대신, 자연 지형에 순응하며 최소한의 토공으로 도로를 조성해 약 30%의 탄소 배출 저감을 달성했다.

      또한 생태통로(Ecological Corridor), 빗물 침투형 도로(Permeable Pavement), 태양광 방음벽(Solar Noise Barrier) 등 환경적 요소와 기능을 통합한 설계도 탄소 중립형 도로의 주요 구성요소다. 이처럼 기능적 효율성에 생태적 연계성을 결합하는 방식은 미래형 도로 인프라의 핵심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3. 저탄소 자재 및 순환 자원의 활용

      건설 자재는 전체 도로 인프라 탄소 배출의 약 70%를 차지하는 핵심 요소다. 따라서 저탄소 자재(Low-Carbon Materials)의 사용은 필수적이며, 재활용 자원(Recycled Resources)의 활용 또한 중요하다.

      대표적인 예로 ‘순환 아스팔트(Reclaimed Asphalt Pavement, RAP)’는 기존 아스팔트 포장재를 파쇄하여 다시 사용하는 방식으로, 생산에 필요한 에너지와 원자재 소비를 대폭 절감한다. 유럽연합(EU)은 현재 도로 신설 시 RAP 활용 비율을 최소 30%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독일은 이 수치를 50%까지 확대 적용하고 있다.

      또한 탄소 저감형 콘크리트인 ‘고로슬래그 시멘트(GGBS: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와 ‘플라이애시 콘크리트(Fly Ash Concrete)’는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 대비 탄소 배출량이 40~80% 낮아, 친환경 도로 구조물의 핵심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도로공사도 2023년부터 일부 고속도로 구간에서 고로슬래그 시멘트를 시범 적용해 품질과 탄소 저감 효과를 검증 중이다.


      4. 에너지 자립형 인프라 도입

      탄소 중립형 도로는 단순히 탄소를 줄이는 것을 넘어, 에너지를 직접 생산하고 활용하는 ‘에너지 자립형 인프라(Energy-Self-Sufficient Infrastructure)’로 진화하고 있다. 태양광, 풍력, 지열 등을 활용한 발전 설비가 도로 구조물과 결합되며, 에너지 순환 구조를 형성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네덜란드의 ‘솔라로드(Solar Road)’는 자전거 도로에 태양광 패널을 삽입해 전력을 생산하며, 인근 가로등이나 전기차 충전소에 공급하고 있다. 비슷한 형태로 프랑스의 노르망디 지역에서도 태양광 패널이 삽입된 차도형 포장재가 시험 운용되었으며, 하루 평균 20kWh의 전력 생산을 기록했다.

      한국에서도 경기 용인시와 전라북도 정읍 등에서 태양광 방음벽이 설치되었으며, 이 전력은 주변 휴게소, CCTV, 도로조명 등에 활용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전기차 충전소와 연계해, 인프라 자체가 에너지 순환 생태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목표다.


      5. 유지관리 단계에서의 탄소 절감 전략

      도로 인프라는 건설 이후 수십 년에 걸쳐 유지관리(Maintenance)가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도 상당한 탄소가 발생한다. 탄소 중립을 위해서는 유지관리 단계에서도 저탄소 전략이 수립되어야 한다.

      기존의 예방보전형 유지관리(Preventive Maintenance)에서 나아가,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술을 활용한 예측 유지관리(Predictive Maintenance)가 핵심 기술로 부상하고 있다. 센서와 드론을 활용해 도로의 미세 균열, 침하, 구조물 손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최소한의 보수 작업만 실시함으로써 자원 낭비와 장비 사용에 따른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로 시설물의 도장, 표지판 교체 등 소모성 공정에서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수성페인트 기반의 차선 도색은 기존 유성페인트 대비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배출이 낮고, 작업자의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6. 제도적 기반과 국제 협력 방향

      탄소 중립형 도로 설계는 기술적 접근만으로 완성될 수 없다. 법·제도적 장치와 국제 협력 구조가 병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정책 수립과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

      유럽연합(EU)은 ‘탄소 경계세(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CBAM)’를 통해 고탄소 자재에 대한 무역장벽을 구축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한국의 도로 건설업계도 저탄소 자재 수요에 빠르게 대응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녹색 SOC 가이드라인’을 수립하고, 공공 인프라 설계 시 탄소 저감 요소를 평가 지표에 포함시키고 있다.

      또한 ISO 14067(제품의 탄소발자국 측정 기준), EN 15804(건설자재의 환경성 선언 기준) 등의 국제 표준을 국내 설계 및 발주 지침과 연계하여 정합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도로공사는 2024년부터 고속도로 설계·시공 입찰 평가 시 ‘LCA 기반 탄소배출 저감 계획서’를 제출토록 의무화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지방자치단체 단위의 공공도로 설계에도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