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도시형 저속 모빌리티 시스템 설계(Urban Micro-Mobility Design)는 도심 내 짧은 거리 이동을 전제로 하는 저속 이동수단(저속 모빌리티: Micro-Mobility)을 체계적으로 배치하고 운영하는 전략으로, 도시교통 혼잡 완화, 탄소배출 저감, 보행 친화 도시 조성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이는 스마트 모빌리티(Smart Mobility), 교통약자 접근성(Transport Accessibility), 지속가능한 도시계획(Sustainable Urban Design)과도 긴밀히 연계된다.
1. 도시형 저속 모빌리티의 정의와 도입 필요성
저속 모빌리티는 일반적으로 시속 25km 이하의 속도로 운행되며, 대표적으로 전기자전거(e-Bike), 전동킥보드(e-Scooter), 소형 전기차량(LSEV: Low-Speed Electric Vehicle), 공유형 전동 휠체어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수단은 대중교통과 보행 사이의 이동 간극을 메우는 ‘퍼스트 마일-라스트 마일(First Mile–Last Mile)’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통적인 도시교통은 승용차와 대중교통 중심으로 계획되어 왔지만, 짧은 거리의 빈번한 이동 수요를 흡수하지 못했고, 이로 인해 교통 혼잡, 대기오염, 교통 약자의 소외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이에 따라 도시형 저속 모빌리티 시스템은 ▲개인 이동성 향상 ▲교통 다변화 ▲온실가스 감축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대안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서울시의 경우, 2022년 하루 평균 8만 건 이상 전동킥보드 이용이 기록되었으며, 2km 이하의 짧은 거리 이동 비중이 전체 도시 교통 수요의 2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서울연구원 자료). 이는 본격적인 저속 모빌리티 기반 시스템 설계의 필요성을 강하게 시사한다.
2. 공간 통합형 인프라 설계와 이용 환경 조성
저속 모빌리티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인프라 설계가 핵심이다. 도로에서의 안전성 확보, 주차 공간의 체계적 배치, 대중교통과의 연계 구역 설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우선, 자전거도로와 전동킥보드 등 저속 모빌리티가 함께 이용할 수 있는 ‘다중용도 차로(Multi-Use Lane)’ 설계가 효과적이다. 이는 기존 차로 폭을 조정하거나 보도 일부를 개조하여 구현되며, 독립된 보호 시설이 병행되어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요 거점(지하철역, 버스정류장, 상업시설 등)에는 모빌리티 허브(Mobility Hub)를 조성해 주차, 충전, 정비, 반납이 가능한 통합 거점으로 운영하는 방식이 효율적이다. 실제로 독일 함부르크는 1km 간격으로 허브를 조성하고, 공유 전기자전거와 킥보드를 통합 관리하여 도시 전체 저속 모빌리티의 평균 이용 거리를 15% 이상 증가시키는 성과를 보였다.
국내에서는 성남시가 ‘모바일 기반 통합 모빌리티 거점’을 시범 조성하여, 스마트 잠금장치, QR기반 정산, 자동 정비 알림 등의 기능을 운영 중이다.
3. 데이터 기반 운영 시스템과 기술적 연계
효율적인 시스템 운영을 위해서는 IoT(사물인터넷) 기반의 실시간 데이터 수집과 운영 최적화 알고리즘이 도입되어야 한다. 특히 수요 예측, 재배치 경로 최적화, 고장 탐지, 충전 주기 분석 등은 저속 모빌리티 서비스의 운영 효율성을 좌우하는 요소다.
스마트폰 앱과 연동된 실시간 지도 기반 플랫폼은 사용자에게 가까운 이용 가능 수단을 안내하고, 반납 가능 구역 정보, 대기시간, 요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운영사 측에서는 이를 통해 특정 시간대 및 지역별 수요 집중 현상을 분석하고, AI 기반 재배치(Autonomous Rebalancing)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싱가포르는 도시 내 10개 구역을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해, 주중/주말, 오전/야간 등 시간대별로 킥보드 수요가 2배 이상 차이 나는 것을 발견하고, 자동 배치 알고리즘을 통해 운영 비용을 연간 30% 절감했다.
한국의 경우, 국토교통부와 민간 사업자가 공동 운영 중인 통합 플랫폼 ‘모빌리티존’은 전국 공유 킥보드와 자전거의 위치, 잔여 배터리, 수리 필요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하고 있다.
4. 법·제도 개선과 안전성 확보 전략
저속 모빌리티 시스템은 도시 교통의 새로운 영역이므로, 기존 도로교통법 체계와의 충돌이 잦다. 따라서 이용 기준 명확화, 안전 교육 제도화, 공공 책임 구조 확립 등의 제도적 기반이 선행되어야 한다.
먼저, 도로 내 위치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에서는 전동킥보드의 보도 주행이 원칙적으로 금지되어 있지만, 실제 이용자 상당수가 보도를 사용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일부 도시에서는 ‘저속 차로’ 또는 ‘혼합 주행 차로’를 신설하여 법적으로 보호하고 있다.
또한, 헬멧 착용, 야간 등화장치 사용, 운전면허 여부 등에 대한 일관된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대만의 타이베이는 이용자에게 면허 대신 디지털 교통안전 교육 수료증을 발급하며, 일정 기간 이상 이용 시 자동으로 보험이 연계되는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
서울시는 민간 운영사와 협약을 통해 ▲안전운전 알림팝업 앱 연동 ▲음주 상태 이용 방지 기술 ▲속도 자동 제한 기능 등을 적용한 바 있으며, 이로 인해 사고율이 초기 대비 약 17% 감소하는 성과가 있었다.
5. 교통약자 중심 설계와 사회적 포용성
도시형 저속 모빌리티는 단지 젊은 세대나 일반 시민의 이동을 위한 것이 아니라, 교통약자(Mobility-Disadvantaged Group)의 이동권을 확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속 모빌리티의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 원칙이 반영되어야 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전동 휠체어 공유 시스템, 고령자를 위한 전동카트 서비스, 시각장애인용 음성 안내 충전소 등이 있다. 일본 고베시는 고령자가 많은 지역에 ‘저속 이동 셔틀’을 도입하고, 공유 휠체어를 등록제로 운영하여, 하루 평균 900명 이상의 노약자가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구조를 형성했다.
한국에서도 대구광역시는 장애인 주거 밀집 지역을 대상으로 공공 운영형 저속 전기차 공유 서비스를 시범 운영 중이며, 이 차량은 차량 접근시 진동 및 음성 안내 기능, 저상 설계, 자동 문 개폐 기능 등을 갖춰 교통약자에게 최적화된 형태를 제공하고 있다.
6. 지속가능성과 도시계획 통합 전략
저속 모빌리티 시스템은 단순한 교통수단이 아니라, 도시 공간 구조와의 통합을 통해 장기적인 지속가능성을 실현해야 한다. 이를 위해 도시계획 초기 단계부터 저속 모빌리티 노선과 거점이 반영되어야 하며, 보행 네트워크와의 연결성도 중요하다.
도시형 저속 모빌리티는 특히 ‘15분 도시(15-Minute City)’ 개념과 밀접하게 연계되며, 지역 주민이 생활권 내에서 대부분의 기능(교육, 문화, 상업, 공공서비스 등)을 접근 가능하도록 해준다. 프랑스 파리는 이 개념을 중심으로 자전거 도로 600km 확장과 더불어, 자전거-도보 전용 지역을 설정해 도심 내 모빌리티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한국의 수원시도 도시재생과 연계한 저속 모빌리티 시범지구를 조성하여, 공유 전기자전거, 전동카트, 도보 연계 인프라를 통합 구축 중이다. 이처럼 도시계획, 교통계획, 환경정책이 통합된 설계가 저속 모빌리티 시스템의 미래형 발전 방향이다.
도시형 저속 모빌리티는 도시의 교통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축일 뿐 아니라,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포용성을 강화하는 도구로도 기능할 수 있다. 성공적인 시스템 설계를 위해서는 기술, 인프라, 정책, 사용자 행태를 모두 고려한 통합적 접근이 필수적이다.
'전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세대 통행행태 차이 분석 (Inter-generational Travel Behavior Analysis) (0) 2025.04.23 지속가능한 통합 물류체계 설계 (Sustainable Urban Logistics System) (0) 2025.04.22 전기차 충전 인프라 최적화 (EV Charging Network Optimization) (0) 2025.04.20 탄소 중립형 도로 인프라 설계 (Carbon-Neutral Road Infrastructure Design) (0) 2025.04.20 순환경제형 교통계획 (Circular Economy in Transport Planning) (0) 2025.04.19